운동을 다시 시작하고 싶은데, 헬스장·수영장 등록비가 너무 부담되셨나요? 그렇다면 지금이 기회입니다. 2025년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문화비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운동을 시작하는 모든 사람에게 희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주변에서 다시 시작된 운동 열풍
요즘 들어 운동을 시작하는 친구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어느새 찾아온 여름, 가벼워진 옷차림과 함께 다이어트를 결심한 친구도 있고, 지치고 반복되는 일상 속 체력을 키우기 위해 헬스장을 등록한 지인도 있습니다. 사실 우리 모두는 알게 모르게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너무 많습니다. 하루 8시간 이상 책상 앞에 앉아 있다 보면 어깨와 허리는 굳고, 체력은 바닥을 향해 갑니다. 건강을 위해 운동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 시대입니다. 저 역시 이런 흐름에 발맞춰 오랜만에 근처 수영장을 찾아 수업에 참여해 보았습니다. 몸이 둔하게 느껴졌던 첫날, 한참을 물속에서 버둥댔지만, 예전의 기억이 차츰차츰 돌아오더군요. 수업을 마치고 나니 몸은 녹초가 되었지만, 속이 후련하고 뿌듯한 감정이 오래도록 남았습니다.
운동비용이 부담될 때 문화비소득공제를 활용하세요!
그런데 매달 나가는 수영장이나 헬스장 등록비는 생각보다 부담이 됩니다. 그래서 운동을 시작하려다 포기한 분도 많으셨을 텐데요.
이제는 걱정 마세요. 운동비도 세금공제받을 수 있으니까요! 2025년 7월부터, 기존 *도서·공연·영화 등에만 적용되던 '문화비소득공제 제도'*가 헬스장, 수영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까지 확대 적용됩니다.
문화비소득공제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26조의2에 따라,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가 도서·공연·박물관·영화 등 문화활동에 지출한 금액에 대해 연말정산 시 추가 소득공제를 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에 따라 이제부터는 헬스장·수영장 이용료의 30%를, 연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간 100만 원을 헬스장에 사용했다면, 그중 30만 원이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셈입니다.
소득공제 가능한 항목 vs 불가능한 항목
헷갈리기 쉬운 항목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릴게요:
항목 | 공제 적용 여부 | 비고 |
헬스장/수영장 등록비 | ✅ 100% | 월 단위, 일 단위 포함 |
수건, 운동복 대여료 | ✅ 100% | 필수 이용비용 |
PT, 강습 프로그램 | ✅ 50% | 시설이용료와 구분 안 되는 교육비 |
주차장 이용료 | ❌ 불가 | 운동 목적과 무관 |
시설 내 음료/간식/운동용품 | ❌ 불가 | 소비성 지출 |
※ 단, 카드 결제가 문화비소득공제 사업자로 등록된 업체여야 적용 가능합니다.
어디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나요?
보다 상세한 정보는 문화비소득공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이용내역, 등록 시설, 적용 여부까지 확인 가능하니 운동 시작 전에 꼭 체크해 보세요!
운동을 미루고 있다면, 지금이 시작할 타이밍입니다!
무더운 여름, 방 안에서 늘어진 몸을 한 번쯤은 움직여 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이제 운동은 건강뿐만 아니라 세금 혜택까지 주는 투자가 되었습니다. 헬스장·수영장 등록비도 소득공제! 이제 비용 부담은 내려놓고, 땀 흘릴 준비만 해보세요.
“이번 달부터 운동 시작하면, 연말정산에서 웃을 수 있습니다.”
지금 가까운 운동시설을 검색하고, 문화비소득공제 혜택을 톡톡히 누려보세요. 운동은 당신의 삶을 바꾸는 첫걸음입니다.
👉 지금 바로 확인하러 가기
문화비소득공제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