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대피 요령을 몰라 생명을 잃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합니다."화재나 폭발은 예고 없이 발생하고, 그 순간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누군가는 무사히 대피하고, 누군가는 생명을 잃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사고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지 몰라서’ 더 큰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이제는 ‘몰라서 당하는 사고’는 더 이상 없어야 합니다. 대피 요령을 몰라 생명을 잃는 일은, 이제 우리 모두가 반드시 막아야 할 일입니다.
🔥 2025년 6월부터, 안전교육이 달라졌습니다!
고용노동부는 화재·폭발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2025년 6월부터 모든 사업장에서 시행하는 안전보건교육에 ‘화재 및 폭발 시 대피 방법’을 필수 교육 항목으로 포함하도록 개정했습니다.
✅ 어떤 교육에 포함되나요?
‘화재·폭발 시 대피 요령’은 다음과 같은 교육 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구분 | 교육 시점 | 교육 대상 | 필수 내용 |
정기 안전보건교육 | 연 1회 이상 | 모든 근로자 | 화재·폭발 시 대피 요령 |
신규 채용 시 교육 | 입사 시 | 근로자 전원 | 화재 발생 시 행동 요령 |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전환 시 | 관련 근로자 | 대피 경로 및 초기 대응법 |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교육 | 최초 노무 제공 시 | 플랫폼·프리랜서 등 | 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
관리자·감독자 교육 | 정기 또는 승진 시 | 팀장·현장 책임자 | 비상시 근로자 대피 유도법 |
📌 왜 강화되었나요?
- 최근 5년간 산업 현장 화재·폭발로 인한 사망 사고 빈번
- 비상 대피 요령 미숙으로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 다수
- 기존 교육은 기계·전기 위주로 편중 → 대형사고 대응력 부족
“사고는 순간이지만, 대피 요령은 미리 배워야 합니다.”
❓ 우리 사업장은 준비됐나요?
- 안전보건교육 커리큘럼에 화재 대피 항목이 포함되어 있나요?
- 관리자 직급도 비상시 대피 유도법을 알고 있나요?
- 프리랜서, 특수고용 인력도 초기 대응법 교육을 받고 있나요?
👉 지금 체크하지 않으면, 사고 시 법적 책임과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어떻게 준비하면 될까요?
- 고용노동부 제공 표준 교육자료 및 대피 시나리오 확인
- 사업장 내 대피 유도 경로 표시 및 비상 훈련 정례화
- 교육 담당자는 2025년 6월 개정사항 반영한 콘텐츠 구성 필수
📞 문의 및 자료 요청은 여기로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과: 044-202-7726
-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www.kosha.or.kr
⛑️ 화재·폭발은 피할 수 없지만, 피해는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 직원은 안전한가요?"
"지금 교육 내용을 바꾸지 않으면 늦습니다!"
👉 지금 당장 안전교육 커리큘럼을 점검하고, ‘화재·폭발 대피 요령’을 반드시 포함하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저장 부탁드립니다! 안전은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습니다. 매일의 실천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