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3일부터 ‘상습 임금체불 근절법’ 본격 시행된다고 하니 아래글 잘 숙지해 두세요.
❗“체불, 아직도 가볍게 보시나요?”
이제 임금체불은 단순한 행정착오가 아니라 ‘경제 범죄’로 간주됩니다. 2025년 10월 23일부터 시행되는 **‘상습 임금체불 근절법’**은 말 그대로 강력합니다. 노동자의 생계를 위협하는 악의적 체불을 뿌리 뽑기 위한 전면 대응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 어떤 제재가 이뤄지나요?
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한 사업주는 이제 다음과 같은 불이익을 받습니다:
✅ 상습 체불 사업주 명단 공개
→ 고용노동부가 매년 공개합니다.
✅ 출국 금지 조치 가능
→ 체불을 청산하지 않고 해외 도피 시 출국 제한!
✅ 국가·공공기관 지원금 신청 제한
→ 각종 보조금, 지원금, 정부 발주 공사 참여까지 제한됩니다.
✅ 임금 지연이자 20% → 재직자에게도 확대 적용
→ 기존 퇴직자에게만 적용되던 지연이자, 이제는 재직 중인 근로자도 청구 가능!
✅ 고의적 체불 시, 손해배상 청구 최대 3배까지 가능
→ 민사 소송 시 배상 액수도 대폭 강화됩니다.
✅ 명단 공개된 뒤 체불 계속 시, 형사 처벌도 가능
→ 이제는 ‘반의사불벌죄’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 한눈에 정리: 임금체불하면?
항목 | 적용 내용 |
🔍 명단 공개 | 고용노동부 발표, 신용정보기관에도 공유 |
🚫 출국 제한 | 체불금 미청산 시 출국 금지 가능 |
❌ 지원금 제한 | 공공지원·입찰·감점 등 불이익 |
💸 지연이자 | 재직자에게도 연 20% 적용 |
⚖ 손해배상 | 법원 청구 시 최대 3배까지 가능 |
🔒 형사처벌 | 피해자 의사 없어도 처벌 가능 |
❓ 나도 혹시 대상일까?
- 최근 3년 내, 3회 이상 체불 이력이 있다면?
- 현재 명단에 올라 있고, 체불을 청산하지 않았다면?
- 직원이 재직 중 지연지급된 급여에 대해 이자를 요구할 수 있지 않을까?
👉 지금 바로 확인하고 조치하세요. 더는 ‘몰랐다’는 변명이 통하지 않습니다.
💬 사업주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 임금 지급일을 정확히 지키세요.
✅ 체불 발생 시, 즉시 청산 계획을 수립하고 소명 자료를 준비하세요.
✅ 사업장 내 급여 시스템과 회계 구조를 점검해 지급 누락이 없도록 관리하세요.
✅ 노무사 등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아 리스크 사전 차단도 추천드립니다.
🧠 근로자는 이런 권리를 기억하세요
- 임금 체불되었을 때는 고용노동부 신고 또는 체불임금청구소송 가능
- 지연이자 청구 가능 (20%)
- 명백한 고의라면, 손해배상(3배)까지 청구 가능
📞 상담 및 신고 문의
-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044-202-7529
- 임금체불 진정서 접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 임금체불, 이제 ‘습관’은 용납되지 않습니다!
“우리 회사, 안전한가요?”
“혹시라도 체불 내역이 있다면 지금 당장 정리해야 합니다.”
“근로자라면 나의 권리를 정확히 알아두세요.”
👉 체불은 이제 범죄입니다. 선처는 없습니다.
👉 10월 전까지 점검하고 대비하세요.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공유와 저장을 부탁드려요! 모두가 정당한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세상, 함께 만들어가요. 💼✨
2025.07.02 - [분류 전체보기] - 육아휴직 후 퇴사해도, 사업주는 지원금 100% 수령 가능!
육아휴직 후 퇴사해도, 사업주는 지원금 100% 수령 가능!
“육아휴직 후 직원이 그만두면 지원금 못 받는다?” 이제는 아닙니다! 2025년 7월부터, 육아휴직 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한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퇴사하더라도, 사업주는 남은 육아휴
bluestone52.com
2025.07.02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하반기 고용노동부 정책 육아휴직 임금체불
2025년 하반기 고용노동부 정책 육아휴직 임금체불
"올해 하반기, 노동자를 보호하고, 사업주는 더 명확한 제도를 통해 지원받는 변화가 시작됩니다." 혹시 육아휴직 후 직원이 퇴사하면 지원금은 못 받는다고 생각하셨나요? 이제는 그렇지 않습
bluestone52.com